산업정책학과
DEPARTMENT OF INDUSTRIAL POLICY
국가 新성장 동력산업의 주역이 될 산업정책학과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지역의 산업정책, 기업의 경영전략, 각종 사업기획(연구개발 및 기업지원사업 기획 등), 각종 보고서 작성 등 산학연관 정책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지역산업정책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산업정책학과는?
1999년 이후 지역의 산업정책은 중앙정부가 정책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지방정부가 자율적으로 정책을 수립하여 산업육성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에 지역 차원에서 전략산업 혹은 지연산업, 나아가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산업정책 개발이 크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구ㆍ경북의 경우 산업정책의 개발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중심이 되고 시ㆍ도의 기업지원기간과 정부 출연여구소 분원, 그리고 타 대학의 산학협력단이 참여하여 이루어져 오고 있습니다. 대구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타 징ㄱ과 차별되는 효과적인 지역산업 정책의개발을 위해서는 해당분야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지역의 경우 크게 부족한 상황입니다.
기업지원 기관이나 개별 기업 혹은 단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닙니다. 인력양성, 기업지원 서비스, 마케팅 및 기술지원 서비스, 마케팅 및 기술지원, 그리고 연구개발 사업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사업기획 능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의 산업 및 기업지원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이나 기업의 경우 더욱 기획전문 인력이 필요합니다.
산업정책학과 교육목표
- 지역산업정책, 경영전략 및 사업기획 분야 전문인력 양성
- 산학연관 및 타 지역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개방형 혁신 선도인력 양성
- 지역산업, 기업, 기관 및 단체를 이끌어갈 창조적 리더 개발
산업정책학과 학문적 수요 및 향후 전망
- 대구 및 경북의 관련분야 공무원, 기업지원기관 및 산업정책 수요기관의 간부 혹은 실무자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산업육성 정책에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기업의 관리자 혹은 실무자
- 장래 산업정책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일반인
- 향후 지역별 차별화된 산업정책은 지방분권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